불법 투기 예측 및 취약 구역 분석 (배경 및 개요)
안녕하세요. 춘천시 빅데이터 분석 경진대회에서 불법투기 예측 및 취약구역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예방전략 개발 주제로 분석을 진행한 감자왕국삼형제 팀의 서상태 입니다.
분석은 배경 및 개요, 분석과정, 분석결과, 해결방안, 마지막으로 활용 및 기대효과 순서로 진행했습니다.
먼저 배경 및 개요입니다.
저는 강원대 인근에 사는 대학생입니다. 제가 실제로 낮에 골목길을 돌아다녀보면 사진과 같은 불법 투기 현장을 심심치 않게 목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춘천시의 불법투기 과태료 건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올해 8월 기준 1000건이 넘게 과태료 부과가 되었을 정도로 춘천시에서는 불법투기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춘천시는 이러한 실태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고자 여러 사업 및 제도를 시행하였습니다. 그 중 하나는 제로-웨이스트 2450 사업의 일환인 쓰레기 집하장 지킴이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비규격 봉투 사용 등의 불법 투기로 인해 관리가 제대로 안 되는 집하장을 대상으로 집하장 지킴이를 고용하여 집하장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입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이 제도에 대해 굉장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집중 단속의 날이라는 제도의 경우 매달 셋째주 수요일에 단속인원 및 시간을 늘려 집중적으로 불법투기 단속을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로 인해 상반기 989건 중 144건을 적발할 정도로 좋은 효과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춘천시는 민원이 많은 지역 혹은 관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단속구역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불법 투기 취약 구역 선정에 명확한 정의와 기준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을 수행해야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불법투기 문제는 시민의 인식과 직결되는 문제 이므로 실질적인 해결방안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