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불법 투기 예측 및 취약 구역 분석 (배경 및 개요)

불법 투기 1

안녕하세요. 춘천시 빅데이터 분석 경진대회에서 불법투기 예측 및 취약구역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예방전략 개발 주제로 분석을 진행한 감자왕국삼형제 팀의 서상태 입니다.

불법 투기 2

분석은 배경 및 개요, 분석과정, 분석결과, 해결방안, 마지막으로 활용 및 기대효과 순서로 진행했습니다.

불법 투기 3

먼저 배경 및 개요입니다.

불법 투기 4

저는 강원대 인근에 사는 대학생입니다. 제가 실제로 낮에 골목길을 돌아다녀보면 사진과 같은 불법 투기 현장을 심심치 않게 목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춘천시의 불법투기 과태료 건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올해 8월 기준 1000건이 넘게 과태료 부과가 되었을 정도로 춘천시에서는 불법투기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불법 투기 5

춘천시는 이러한 실태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고자 여러 사업 및 제도를 시행하였습니다. 그 중 하나는 제로-웨이스트 2450 사업의 일환인 쓰레기 집하장 지킴이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비규격 봉투 사용 등의 불법 투기로 인해 관리가 제대로 안 되는 집하장을 대상으로 집하장 지킴이를 고용하여 집하장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입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이 제도에 대해 굉장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집중 단속의 날이라는 제도의 경우 매달 셋째주 수요일에 단속인원 및 시간을 늘려 집중적으로 불법투기 단속을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로 인해 상반기 989건 중 144건을 적발할 정도로 좋은 효과를 얻었습니다.

불법 투기 6

하지만 현재 춘천시는 민원이 많은 지역 혹은 관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단속구역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불법 투기 취약 구역 선정에 명확한 정의와 기준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을 수행해야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불법 투기 7

그리고 불법투기 문제는 시민의 인식과 직결되는 문제 이므로 실질적인 해결방안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