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투기 예측 및 취약 구역 분석 (분석과정)
다음은 분석 과정입니다.
먼저 취약구역 도출을 위한 요인을 선정하였습니다. 이 사진은 과태료 상습 부과지역을 나타내는 밀도 그래프입니다. 빨간 지역일수록 과태료 부과가 잦은 지역을 뜻합니다. 교동, 효자2동, 효자3동에 주로 분포해 있고 이는 전체 30%에 해당할 정도로 많습니다. 위 지역은 대학가 주변 원룸촌으로 대학생들이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다음은 쓰레기 집하장 밀집 지역을 나타낸 밀도 그래프입니다. 앞서 보았던 과태료 상습 부과지역을 상당 부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쓰레기 집하장에 잘못된 방법으로 버리는 유형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집하장 위치를 요인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이 그림은 빌라 밀집지역을 나타낸 밀도 그래프입니다. 위 요인 또한 과태료 상습 부과지역을 상당 부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요인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다음은 인구 밀집 지역을 나타낸 밀도 그래프입니다. 인구가 많은 지역에 불법 투기가 많이 일어날 거라 예상하여 요인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춘천시 전체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구 밀집을 제외한 세요인을 고려하여 대학생이 주로 거주하는 교동, 효자동 주택단지를 설문조사 지역으로 선정하였습니다.
교동과 효자동 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연령대는 20대가 가장 많았고 가구 유형과 주택 유형은 각각 1인가구, 연립주택이 가장 많았습니다.
쓰레기 집하장 불편요인으로는 악취 혹은 쓰레기 상태 등 집하장의 환경과 관련한 의견들이 가장 많았습니다.
불법 투기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 ‘예’ 라고 대답한 사람들이 약 60%라고 나왔고, 이들이 생각한 불법투기의 발생원인으로는 ‘시민의식 부족’을 가장 많이 선택했습니다.
다음으로 이들이 생각한 불법투기 해결방안으로는 ‘쓰레기 집하장 미화’, ‘CCTV설치확대’, ‘단속강화’ 순서로 많았습니다.
1인가구와 주택의 분포를 비교하였는데요. 1인가구와 주택의 경우 모두 불법투기 경험 ‘있음’ 비율이 약 72%, 81%로 상당히 높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밖에 배출 시간, 배출시간 인지, 분리 배출 여부 등에서 1인가구와 주택이 비슷한 분포가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배출 시간 관련 설문조사입니다. 쓰레기 배출 시간의 경우 ‘고정적이지 않음.’이 64.2%로 가장 많았습니다. 배출 시간을 지키지 못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직장 또는 개인일정’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리고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배출 시간 해결책에 대해서는 ‘배출 시간을 추가’ 항목이 55.8%로 가장 많았고 ‘배출 시간 관련 홍보’ 항목이 그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다음은 분리 배출 관련 설문조사입니다. 분리 배출 요령 준수 여부에 대해 ‘그렇다’가 46.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보통이다’ 39.3%로 뒤를 이었습니다.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분리 배출 원인에는 ‘잘 지킨다’는 응답을 제외하면 ‘요령을 지키기 귀찮다’와 ‘요령을 모른다’가 각각 34.5%, 13.4%로 응답하였습니다. 응답자들이 생각한 분리 배출 불법 투기 해결책으로는 ‘분리배출 항목 세분화’가 59%로 가장 많은 답변을 얻었습니다.
왼쪽 그림은 과태료 부과 건수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2020년에 ‘비규격봉투에 의한 투기’ 유형의 과태료 부과 건수가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2020년에 불법투기 단속인원이 증가함에 따라 단속 건수 또한 증가했는데 오른쪽 그림을 보면 오히려 춘천시 가정용 봉투의 판매량이 증가하고 생활쓰레기의 양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2021년에는 비규격봉투에 의한 투기 과태료 부과 건수가 또 증가하였다. 이는 비규격 봉투에 의한 불법투기의 총량은 줄어들지 않음을 시사하는데 따라서 우리는 종량제 봉투 관련 설문항목을 포함하였습니다.
종량제 봉투 관련 설문에서는 시민의식 부족이 81.1%로 가장 높았습니다.
불법투기 관련 설문조사 분석과정은 여기서 마치고 다음은 격자 분석을 통한 취약구역 도출 과정입니다. 시민들이 생각한 해결방안으로 ‘쓰레기 집하장 미화’, ‘CCTV설치확대’, ‘단속강화’가 가장 많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격자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우선 CCTV 과태료 부과 건수가 5건 이상이면서 춘천시의 주거지역에 해당하는 곳만 100x100 격자로 추출하여 요인별로 점수를 산출하였습니다. 점수는 1~20의 등간격으로 나눠 이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하였습니다.
다음은 가중치 산출을 위한 AHP분석 입니다. 쌍대비교를 위해 춘천시 자원순환과 주무관을 대상으로 요인별 중요도 설문조사를 하였습니다.
그 결과를 기반으로 쌍대비교표를 작성하고 가중치를 산출하였습니다.
산출된 가중치를 앞서 산출한 각 그리드의 요인별 점수에 곱하여 최종적으로 각 그리드마다 취약지수를 산출하였고 취약구역을 도출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