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불법 투기 예측 및 취약 구역 분석 (해결방안, 활용 및 기대효과)

불법 투기 39

다음은 앞서 말했던 분석결과와 그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불법 투기 40

설문조사의 결과들을 보면 결국 문제해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시민의식의 개선으로 귀결됩니다. 따라서 저희는 불법투기 인식 향상을 위한 방안을 준비하였습니다.

불법 투기 41

먼저 취약지역 등신대 설치입니다. 영등포구의 사례를 참고하여 취약지역에 강원도민 혹은 근처 대학생들에게 친숙한 강원도 및 대학 마스코트 등신대를 설치하여 불법투기 예방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각 목적에 맞게 등신대에 슬로건을 추가하여 캠페인의 목적을 분명하게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불법 투기 42

쓰레기 배출시간에 대한 가장 높은 지지를 얻은 해결방안은 ‘쓰레기 배출시간 확대’ 였습니다. 금천구의 사례를 참고하여 현재의 배출 시간을 유지하면서 주간 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오전 11시까지 배출 시간을 추가하는 방안입니다. 우선적으로 앞서 도출한 취약구역 10곳 지역에 시행합니다. 이후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차차 적용할 지역을 늘려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법 투기 43

다음은 교내부스 활동을 통한 홍보입니다. 분석결과에서 말씀드렸듯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불법투기 관련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교내 부스 활동을 통한 홍보 방안을 제안하였습니다. 학생들에게 배출 시간과 분리 배출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그 인식을 높이고 종량제 봉투 배포와 같이 불법 투기를 예방하고자 하는 의도를 강조하는 캠페인을 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등신대와 마찬가지로 대학교 마스코트 등이 그려진 친숙한 굿즈 증정과 함께 홍보한다면 대학생들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불법 투기 44

분리 배출에 대한 가장 높은 지지를 얻은 해결방안은 쓰레기 집하장 세분화입니다. 춘천시는 현재 일관되지 않은 집하장들로 인해 시민들에게 배출하는 방법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춘천의 집하장 형태를 분리배출 항목에 맞춰 세분화하고 이를 획일화된 기준에 맞춰서 설치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은 영국과 독일의 재활용 수거함 사례입니다. 분리 배출 종류마다 색을 다르게 하여 시민들이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불법 투기 45

마지막으로 울산시의 불법 투기 쓰레기 방치 전략을 참고하였습니다. 실제로 울산시에서는 불법투기된 쓰레기에 미수거 스티커를 부착하고 쓰레기가 치워질 때까지 장시간 방치하는 전략이었습니다. 주민들은 이에 불편을 느껴 불법투기를 자발적으로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불법 투기 46

쓰레기 불법투기와 같은 시민의식과 관련된 문제는 정량적인 데이터만을 통해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시민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적의 대안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불법투기와 관련한 여러 홍보 및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시민의식 개선을 기대해야 합니다.

불법 투기 47

해결방안 마지막으로 CCTV 우선설치지역 선정입니다. 설문조사의 결과로 쓰레기 집하장 미화에 이어 CCTV 설치 확대 방법에 대한 방안입니다. 이 그림은 춘천시의 불법투기 단속을 위한 CCTV 설치 위치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빨간색 점은 이동식 CCTV, 초록색 점은 고정식 CCTV입니다. 한정된 예산 안에서 CCTV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CCTV 우선설치지역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취약구역 10곳중 꿈나무과학공원 인근을 보면 이동식 CCTV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불법 투기 48

따라서 이를 제외한 나머지 취약 구역에 CCTV를 우선적으로 설치하여 효율적인 예산운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불법 투기 49

발표의 마지막 순서인 활용 및 기대효과입니다.

불법 투기 50

격자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기존과 다른 새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CCTV 우선설치지역 선정이외에도 다른 정책에 신속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습니다. 취약구역 도출 모델은 한정된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서 우리는 춘천 시민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 방안과 예방책을 모색할 수 있고 시민들이 설문에 참여함으로써 불법투기에 대한 관심도와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제시한 해결방안 사레들을 통해서 넛지효과를 기대함과 동시에 이러한 해결방안을 통해 불법투기가 개선된다면 미관, 환경, 경제적 비용 등의 여러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은상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